왕자병/공주병이 될 수 있는 소지가 사회적으로 세척되다 (be socially sanitized of what can shape up to be prince/princess syndrome)

한국에서는 특정 대학에 들어가면 왕자병/공주병에 걸리기 쉽고 그 결과 (concomitantly) 실력 없고, 제정신이 아닌 또 한 패거리 (clique) 일당이 되기 쉬운 보기 흉한 (eyesore) 경향이 있다. 그런 경향과는 아주 대조적으로 (in stark contrast with ~), 다른 대학에 들어가는 것은, 신의 섭리 (providence) 증거로, 왕자병/공주병이 될 수 있는 소지가 사회적으로 세척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대조성을 고려해볼 때, 장기적으로, 다른 대학에 들어가거나 졸업한 것이 떳떳하게 자기 실력을 다지고 건전한 (wholesome) 평생 습관인 지적인 겸손, 평생 공부 싹을 키우는 것으로 판명된다면, 한국에서 다른 대학에 들어가거나 졸업하는 것은 잘 안 보이게 가려진 축복(a disguised blessing)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it follows that ~).

< 사진 설명 > 설거지하는 김진현. / 매 식사 후 설거지, 주말에 빨래, 청소, 매일 가족 아침 식사로 스무디 만드는 것, 곡식 씻어 밥 짓는 것, 과일 씻어 깎는 것은 김진현이 항상 자진해서 맡은 몫이다. 한국에 있을 때 처가든 친가든 가족 모임 집에서 식사하고 나서 김진현은 앞장서서 설거지했다. 2017년 삼복더위 3주간 한국에서 편찮으신 장모님, 장모님 수발해 드릴 때도, 반찬 만드는 것은 아내가 맡아서 했지만, 밥 짓고, 설거지, 빨래하는 것은 김진현이 맡아서 했다. 설거지, 빨래, 청소하면서 김진현은 겸손을 익히고 영혼이 세척됨을 느낀다. 모든 편의 시설이 열악하기만 했던 최전방 군대 생활 때 자신이 졸병일 때는 물론이고 김진현은 최 고참이 되었어도 제대하는 그 날까지 단 한 번도 자신이 먹고 나온 식판, 수저, 젓가락을 졸병에게 닦으라고 한 적이 없이 자신이 직접 닦음으로써 당시 군대 병영 생활 통례 따르는 것을 거부했다. 다시 말해서 이렇게 함으로써 김진현이 평생 미워하고 경계하는 왕자병이 김진현 자신에게 스며들 여지를 차단해오고 있다. //// 김진현은 토론토 대학 박사과정에 있을 때 신학대학 유학생으로 와있는 한국 목사님들과 아침 일찍 테니스를 많이 쳤다. 새벽에 운동하는 관계로 테니스 파트너 구하기 힘들었던  김진현에게 새벽 기도회 습관이 있는 한국 목사님들은 아주 드문 귀한 테니스 파트너였다. 이렇게 해서 김진현이 많은 한국 유학생 목사님들에게 테니스를 가르치게 되고 사귀게 되었다. 그중에서 ‘오’ 목사님이 가장 인상에 남는다. 토론토 내 혹은 토론토 인근 한인 교회 협동 목사 직을 맡으며 사례금을 받는 당시 대부분 유학생 목사님들과는 다르게 오 목사님은 ‘work permit’을 소지한 사모님 대신 자신이 밤에 office 빌딩 청소하며 가족 생계비를 벌었다. 오 목사님은 참으로 겸손하고 청빈한 분이었다. / 꿈속에서 김진현은 엄청나게 높은 나무에 매달려있는 그네를 타고 있었다. 옆에 많은 사람이 높게 높게 올라가는 김진현을 보며 손뼉 치며 환호했지만, 김진현 자신은 무서워서 빨리 내리고 싶지만, 너무 높아서 무서워하고만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그네 밑에 오 목사님이 나타나셔서 환한 웃음을 지으며 김진현을 향해 양팔을 벌렸다. 그런 모습의 오 목사님을 보자 김진현은 무서움이 사라지고 편안하게 오 목사님의 품 안으로 뛰어내리면서 잠에서 깨었다. 김진현 자신과 비슷한 나이 또래의 ‘청소하는 성자’ 오 목사님에 대한 신뢰가 깃든 꿈이었다. / 2006년에 모국과 직업적으로 영원한 작별을 고하고 캐나다로 돌아오기 직전에 김진현은 시골에서 농부들과 함께 일하며 조그마한 교회를 맡아서 목회 활동하시는 오 목사님을 만났다. 여전히 겸손하시고 청빈하신 오 목사님 삶의 모습에서 김진현은 껍데기에 저항하며 알맹이를 추구하는 사회 건설을 위한 ‘한 알의 밀알’을 보았다. /// 한국에서 최전방 군대 생활을 마치고 1983년도에 김진현이 복학했을 때 숭실대 총장님은 강신명 박사님이었다. 기독교계 중심 교회 중의 하나인 새문안 교회 목사님으로서 또 한국 기독교계 훌륭한 지도자로서 세상에 잘 알려진 그분의 명성 때문이 아니라 김진현이 혼자 직접 본 강신명 목사님의 모습 때문에 그분을 존경한다. 바람이 차갑게 부는 겨울 방학 기간 어느 토요일 오후 텅 빈 교정에서 바람에 나부끼는 휴지를 쫓아다니시며 장갑도 안 낀 양손에 가득 모아 주우시는 백 발의 노인 목사님의 뒷모습을 김진현은 가슴 뭉클해지며 혼자 보았다. 

Wednesday, January 6, 2021

Second year and third year into their respective courtships with my two daughters in their early 30s, two young men have met my de facto criterion: no place for prince syndrome in the personalities of my future sons-in-law. Now openly and happily I say to my daughters as follows:

In Korea, I observed from up close so much of prince/princess syndrome-induced corrosiveness that even a trace symptom of prince syndrome would have constituted a basis for my objection to my two daughters’ respective boyfriends. 

Symptoms consistent with prince/princess syndrome range from (especially in case of those with prince syndrome) never washing the dishes to belittling other people. The practice of belittling others stems largely from the debilitating societal norm of prizing appearance over substance, something behi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sapping attitude of lording it over others. Prince/princess syndrome is so born of and so emboldened by the discredited appearance-oriented social convention of overdoing the cult of any, even patently incompetent, graduates from particular universities that those with prince/princess syndrome tend to stereotypically call any students and graduates from other universities “zzisiregideul,” a brazenly dehumanizing label meaning ‘dregs.’ This way they belittle other people than their cliques. Actually they tend to double down on using the dehumanizing label under the illusion that doing so would dredge up the discredited social convention into enabling themselves to hide their lack of competence in a genuine sense and to keep masquerading as competent. [P.S.: In his NYT column (2021, Jan 21), Dr. Paul Krugman, a winner of a Nobel Prize in Economics, wrote: “people secure in their intellectual bona fides don’t boast about their academic credentials.” [Note: along with two other NYT columnists- Mr. Thomas L. Friedman (a three-time Pulitzer Prize winner) and Mr. Nicholas Kristof (a two-time Pulitzer Prize winner), Dr. Krugman is my forever English teacher.]

Typical of prizing appearance over substance, the social convention of overdoing the cult of students or graduates from particular universities tends to only make for their arrogance and, thus, deprive them of the capacity to be so intellectually humble as to practise lifelong learning, which is a well-documented driving force behind building competence in a genuine sense. If you cocoon yourself in the convention as your way of life, you are that much unmoored from intellectual humility and lifelong learning, thus ending up living the mentally harmful lifestyle of going to any lengths to hide your incompetence and to try to pass yourself off as competent.  

Having been first hand and heavily exposed to the social and individual ills attributed to prince/princess syndrome in Korea, I wasted no time noticing prince syndrome in Mr. Trump 5 years ago when he began his first election campaign. Since then, all along I have full-throatedly described to people around me his deeply-rooted prince syndrome as the root cause of his plainly childish habit of passing himself off as competent or even infallible and his disgustingly anachronic and outrageous sense of entitlement, e.g., belittling others as if power and glory had to belong exclusively to him and others were fated to play second fiddle to him. Mr. Trump’s business and political life is a study in prince syndrome behind one’s perversely self-defined smartness and belief that one can get away with any crimes. [P.S.: Obviously Mr. Trump is typical of “a thug in a sharp suit with an Ivy League degree” (Swartz, 2021, Jan 11).] Mr. Trump’s advanced prince syndrome has rendered him always incapable of understanding the core democracy-founding notion of a leader as serving people rather than being served.

Today my younger daughter texted me. In her text message, she said she was shocked at a Trump-supporting mob storming the U.S. Capitol. In response, I wrote: “What is happening there is an ugly scene usually reserved for banana republics.” “Supporting an insurrection [and] trying to win another term despite having lost both the popular vote and the Electoral College” (Kristof, 2021, Jan 6), Trump incited a mob today to invade the United States Capitol where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the Senate convened to perform their constitutional duty of first counting the electoral votes and then certifying Joe Biden’s electoral victory. In his NYT column yesterday, Mr. Friedman put his finger on Trump-cult Republicans’ prince syndrome-induced, outrageous sense of entitlement when he wrote as follows:

The governing “philosophy” of these unprincipled Trump-cult Republicans is unmistakably clear: “Democracy is fine for us as long as it is a mechanism for us to be in control. If we can’t hold power, then to hell with rules and to hell with the system. Power doesn’t flow from the will of the people — it flows from our will and our leader’s will.” 

[P.S.: The New York Times shed light on the cruelty associated with a prince syndrome-induced sense of entitlement when its editorial page (2021, Jan 11) described Mr. Trump as “a man who was happy to put their [= constituents’] lives, and the nation’s democratic future, at risk for nothing but his own quest to hold on to power.”]

[P.S.: Mr. Trump’s prince syndrome also manifests itself in his sense of entitlement to be a peerless winner, which is instantiated by “Mr. Trump’s anger at reports that former President Barack Obama had attracted a larger crowd eight years earlier” (NYT, 2021, Jan 20).]

[P.S.: Mr. Trump dismissing others as fated to play second fiddle to him finds expression in “Mr. Trump, always wary of ceding the spotlight to others, [~]” (NYT, 2021, Jan 15). 

[P.S.: As instantiated by Mr. Trump’s “self-regard that has congealed at times into functional self-delusion” (NYT, 2021, Jan 16), prince syndrome appears to be something bordering on mental insanity.]

[P.S.: A sense of entitlement to get away with any crimes defines the entire life of Mr. Trump with prince syndrome. Mr. Trump’s relative evasion of consequences until now “has progressively increased his conviction that he can and should get away with anything he does” (Schwartz, cited in NYT, 2021, Jan 16). “Central to Trump’s mystique is that he breaks rules and gets away with it” (Goldberg, 2021, Jan 15).]

[P.S.: Prince syndrome is behind Mr. Trump’s delusion that he is so perfect and so super competent as to be infallible. That kind of delusion largely explains why “[President Trump] never once — not once — surprised us on the upside with an act of kindness, self-criticism or reaching out to opponents” (Friedman, 2021, Jan 19).]    

[P.S.: The notion of prince syndrome as a matrix of social ills resoundingly resonates with a world suffering at the hands of a Mr. Trump deep into the syndrome. That resonation leads to a quick understanding of the fact that “Trump has finally faced the broad social pariahdom he’s always deserved” (Goldberg, 2021, Jan 15).]

Due to the corrosive, appearance-oriented social convention of overdoing the cult of particular universities, unfortunately in Korea, too many students and graduates from these universities develop prince/princess syndrome; and as a result, they are so unmoored from intellectual humility-driven lifelong learning that they have ended up or are on the path to getting incompetent. Their incompetence is also a natural outgrowth of their hakwon-based, teacher-fronted, made-for-copier 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s. In short,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are far from building the three pillars of genuine competence: original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What is in direly short supply in their entire education is the kind of educational experience that is conducive to self-constructing knowledge and self-honing critical thinking skills based on the genuine competence-building, systematic routines of reading, writing, research/inquiry and discussion in earnest. Obsessed with hiding their incompetence to the point of harming their mental health, in demonstration of their anachronistic sense of entitlement, they go so far as to have no qualms for stereotypically and dehumanizingly labeling students and graduates from other universities. That kind of labeling offers a glimpse into what they practically advance: feudalism, i.e., a stratified caste society of Korea. In stark contrast with the eyesore-like tendency in which getting into particular universities is conducive to developing prince/princess syndrome and concomitantly ending up in yet another clique of incompetent, less-than-sane minds, in Korea, in evidence of providence, getting into other universities means being socially sanitized of what can shape up to be prince/princess syndrome. Given the contrast, it follows that getting into or graduating from other universities in Korea represents a disguised blessing, if down the road it proves to germinate the proudly self-empowering and wholesome lifetime habit of intellectual humility-driven lifelong learning. 

*****     *****     *****     *****

. courtship = 연애

. son-in-law = 사위

. prince syndrome = 왕자병

. de facto = 사실상의

. corrosive = 부식하는 

. trace symptom = 아주 미세한 증상

. consistent with ~ = ~에 일치하는

. range from ~ to ~ = ~에서부터 까지 이르다

. belittle ~ = ~을 깔보다

. stem from ~ = ~에서 기인하다/나온다

. debilitate ~ = ~을 허약하게 만들다

. competitiveness = 경쟁력

. sap ~ = ~을 축내다; ~을 점차로 약화시키다

. lord it over others = 으스대다 

. born of ~ = ~에서 출생하다

. discredited = ~ 신뢰/신용을 잃은

. embolden ~ = ~을 부추기다 

. social convention = 사회 관습/풍조/통례

. cult (overdo the cult of ~ = ~을 과대하게 우러러보다)

. patently = 명백히

. brazenly = 뻔뻔스럽게

. dehumanizing = 비인간화하는

. dregs = 찌꺼기 

. clique = 패거리

. double down on ~ = ~을 더욱더 열심히 하다

. illusion (under the illusion that ~ = ~ 착각하에서)

. dredge ~ up = ~을 긁어 위로 올리다

. masquerade as ~ = ~라고 위장하다

. bona fides =  있는 그대로

. academic credentials  = 수학 이력

. typical of ~ = ~의 전형적인 예다

. arrogance = 교만

. humble = 겸손하다

. lifelong learning = 평생 공부

. driving force behind ~ = ~의 견인차

. cocoon oneself in ~ = (고치로 싸듯이) 자신을 ~으로 휩싸다

. unmoored from ~ = ~ 와는 동떨어진

. lengths (go to any lengths to ~ = ~하려고 갖은 애를 쓰다)

. pass oneself off as ~ = ~인 것처럼 거짓 행세하다

. first hand = 직접

. attribute ~ to ~ = ~을 ~ 탓으로 돌리다

. time (waste/lose no time ~ing = 금방/즉시 ~하다)

. all along = 줄곧

. full-throatedly = 목청 높여

. root cause (the root cause of ~  ~의 근본 원인)

. infallible = 실수없는

. anachronic = 시대착오적

. entitlement = 권리

. fiddle (play second fiddle to ~ = ~에 들러리 서다) 

. a study in ~ = a perfect example of ~ = ~의 완벽한 예

. perversely = 그릇되게; 정도에서 벗어나게

. get away with ~ = 잘못을 저지르고도 처벌받지 않다

. thug = 악당

. advanced = (병 등이) 아주 심한; 많이 나쁜 상황 방향으로 많이 진행된

. render = ~을 ~ 상태로 되게 하다

. mob = 폭도

. Capitol (the U.S. Capitol = 미국 연방 의사당)

. banana republic = 후진국; 미개국 

. insurrection = 반란

. Electoral College = 선거인단

. incite = 선동하다

. finger (put one’s finger on ~ = ~을 잘 표현하다) 

. as long as ~ = ~하는 한  

. shed light on ~ = ~을 파헤치다

. constituent = 지역 유권자; 선거구민

. cruelty = 잔인함

. manifest itself = 나타나다

. peerless = 단독

. dismiss ~ as ~ = ~을 ~로 치부/일축해버리다

. fiddle (play second fiddle to ~ = ~에게 들러리 서다 

. wary of ~ = ~을 경계하다

. spotlight (cede the spotlight to others = 각광 받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양보하다) 

. self-regard = 자존심

. congeal = 굳다; 응결하다

. self-delusion = 자기 기만

. border on ~ = ~ 을 방불케 한다; ~와 비슷하다

. evasion = 피함 

. conviction = 확신

. mystique = 비법

. infallible = 과오가 절대 없는.

. surprise us on the upside = 아주 예상 밖의 좋은 것으로 우리를 깜짝 놀라게 하다

. reach out to ~ = ~와 접촉하려고 하다; ~을 설득하려고 노력하다

. matrix = 모체

. resoundingly = 굉장히 크게

. resonate with ~ = ~에게 공감이 되다

.  pariah = 행실 막된 몹쓸 사람; 망나니

. unmoored from ~ = ~와 연결 끈이 풀어졌다; ~와 멀다

. outgrowth = 결과

. teacher-fronted = 주입식

. made-for-copier = 복사기에 알맞는

. pillar = 기둥

. direly = 아주 형편없이

. supply (in short supply = ~이 부족하다)

. conducive to ~ = ~을 조성/촉성하는

. earnest (in earnest = 본격적으로)

. obsessed with ~ = ~에 과도하게 신경을 곤두세우다

. go so far as to-inf. = ~하기까지 하다

. qualm (have no qualms for ~ = ~를 주저없이 하다)

. glimpse = 얼핏 나타나기 

. advance ~ = ~을 지지하다

. stratified = 계층/계급이 구분된

. feudalism = 봉건주의

. contrast (in stark contrast with ~ = ~와는 아주/극명하게 대조적으로)

. eyesore = 보기 흉한 것

. concomitantly = 그 결과적으로

. providence = 신의 섭리

. sanitize ~ = ~을 세척/제거하다

. shape up to-inf. = ~으로 될 모양새다/기미가 있다

. Given ~ = 을 고려해볼 때

. follow (it follows that ~ = ~라는 논리가 나온다/결론이 나온다)

. blessing (a disguised blessing = 잘 안 보이게 가려진 축복)

. germinate ~  = ~을 발아시키다

. wholesome = 건전한; 건강에 좋은

*****     *****     *****     *****

수요일, 1월 6일, 2021년

30대 초반인 내 두 딸과 각각 2년, 3년째 연애하고 있는 두 젊은 청년들은 나의 장래 사윗감에 대한 사실상의 기준인 ‘왕자병 전혀 없을 것’을 통과했다. 요즈음 나는  공개적으로 즐겁게 두 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국에서 나는 왕자병, 공주병으로 사회가 망조 드는 것을 가까이에서 아주 많이 봐서 왕자병 징조가 눈곱만큼만 있어도 나는 내 두 딸의 남자 친구가 되는 것을 반대했을 것이다. 

왕자병/공주병 증상은 (특히 왕자병의 경우) 설거지를 전혀 하지 않는 것에서부터 다른 사람들 깔보는 것까지 이른다. 다른 사람 깔보는 것은 알맹이보다는 껍데기를 중요시하는 사회를 허약하게 만드는 풍조, 즉 국가 경쟁력을 약화는 자기가 제일이라고 으스대는 태도에 주로 기인한다. 왕자병/공주병은 특정 대학 출신이기만 하면, 실력이 아주 형편없어도 무조건 우러러보는 껍데기 중심 사회 풍조에서 나왔고 또 그런 풍조가 부추겨서 왕자병/공주병에 걸린 사람들은 다른 대학 학생들과 졸업생들을 정형화시켜서 아주 뻔뻔스러울 정도로 비인간적인 딱지를 붙여서 “찌 시래기들”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이런 식으로 그들은 그들과 한 패거리가 아닌 사람들을 깔본다. 사실은 그들이 그런 비인간화하는 딱지 붙이기를 더욱더 열을 내어서 하는 경향 뒤에는 그들의 착각이 있다. 즉 그렇게 하면 위에 언급한 못된 사회 풍조를 긁어 올려서 그들 자신이 진정한 의미의 실력이 없다는 사실을 가리고 실력이 있는 것처럼 계속 둔갑할 수 있으리라는 착각하고 있다. [후기: 2021년 1월 21일 자 컬럼에서,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Paul Krugman 박사는 “자신들의 있는 그대로 실력에 자신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떤 어떤 학교 다녔다고 자랑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주: 다른 두 뉴욕 타임즈 칼럼니스트–세 차례 Pulitzer 상 수상자 Thomas L. Friedman과 두 차례 Pulitzer 상 수상자인 Nicholas Kristof–와 함께, Krugman 박사는 나의 영원한 영어 선생님이다.]

특정 학교 출신에 대해 과도하게 우러러보는 사회 풍조는 알맹이보다는 껍데기를 중요시하는 전형적인 예로서, 그들의 교만만 더 키워서 지적으로 겸손할 능력을 박탈시켜서 그들은 진정한 실력의 근원인 평생 공부를 할 수 없다. 일상 삶이 그런 사회 풍조를 보호막으로 사는 삶이면 그만큼 지적인 겸손 및 평생 공부와는 동떨어져서 자신의 무능력을 감추고 실력있는 것처럼 행세하려고 갖은 애를 써서 그만 정신 건강에 해로운 삶을 살게 되고 만다.

한국에서 왕자병/공주병에 기인하는 사회 및 개인 폐단을 직접 많이 봐서 나는 5년 전에 Mr. Trump가 첫 대통령 후보 공천 유세를 할 때 Mr. Trump는 왕자병에 걸렸다는 것을 금방 알아챘다. 그 이래, 줄곧 나는 내 주위 사람들에게 목청 높여서 말했다. Mr. Trump가 아주 유치한 애같이 자신은 실력 있고 심지어는 항상 옳은 것처럼 행세하고 지극히 시대착오적이고 터무니없는 갑질 행위, 예를 들어 모든 권세와 영광은 자기만의 것이고 다른 사람들은 운명적으로 자신에게 들러리 서게 된 것처럼 남을 깔보는 것 같은 행위의 근본 원인은 Mr. Trump에 깊게 뿌리 박혀있는 왕자병이라고 목청 높여 말했다. Mr. Trump의 사업 및 정치 인생은 그릇된 똑똑함과 무슨 범죄를 저지르고도 벌 받지 않을 수 있다는 믿음의 완벽한 예다. [후기: 분명히 Mr. Trump는 Swartz (2021년 1월 11일)가 표현한 것처럼 “Ivy League 학위로 잘 빼입은 악당”의 전형이다.] 왕자병 중환자 Mr. Trump는 지도자는 국민으로부터 섬김을 받는 자가 아니라 국민을 섬기는 자라는 민주 국가 토대 개념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상실된 자다. 

오늘 내 작은딸이 나에게 문자 메세지를 보냈다. 내 작은딸은 Trump 지지자 폭도들이 미국 의사당 난입에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나는 답신으로 “지금 거기에서 일어나고 있는 짓은 통상적으로 후진국에서 일어나는 흉한 장면이다”라고 썼다. “전국 획득 총투표수와 선거인단 모두에서 패배에도 불구하고 반란을 지지해서 또 한 번 대통령 임기를 얻으려고 시도하는” (Kristof, 1월 6일, 2021년), Mr. Trump는 미국 연방 상원, 하원 의원들이 선거인단 표를 개표하고 Joe Biden의 선거 승리를 확인하는 헌법 의무를 수행하려고 모여있는 미국 연방 의사당을 침입하라고 오늘 폭도들을 선동했다. 어제 자신의 뉴욕 타임즈 칼럼에서 Mr. Friedman은 Trump 추앙 공화당원들의 왕자병 기인한 터무니없는 권력 독점 의식을 아래와 같이 잘 표현했다:

원칙도 없는 Trump 추앙 공화당원들의 통치 “철학”은 분명하다: “우리가 집권하게 하는 장치라면 민주주의는 우리에게 좋다. 우리가 권력을 잡을 수 없으면 법도 제도도 다 무시해버려. 권력은 국민의 의사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의사 및 우리 지도자의 의사에서 온다.” 

[후기: 2021년 1월 11일 자 사설에서 Mr. Trump는 “오로지 자신의 권력 유지 추구를 위해 지역 유권자의 생명과 국가의 민주주의 미래를 위험에 빠뜨리기를 좋아하는 자”라 묘사함으로써 뉴욕 타임즈는 왕자병에 기인한 부귀영화 독점의식과 관련된 잔인함을 파헤쳤다.]

[후기: 또한 Mr. Trump의 왕자병은 그의 단독 우승 자리 독점 의식에서도 나타난다. 그의 그런 독점 의식은 “8년 이전에 있었던 Barack Obama 대통령 취임식에 모인 인파가 자기 취임식에 모인 인파보다 더 많았다는 보도에 낸 그의 화”(NYT, 2021, Jan 20)의 배경에도 깔려있다.]

[후기: 2021년 1월 15일 자 뉴욕 타임즈 기사에 나오는 “Mr. Trump는 남이 자기보다 더 주목을 받는 것을 항상 경계한다”는 남들은 자기에게 들러리 서도록 운명 됐다고 남들을 치부해버리는 Mr. Trump의 됨됨이를 잘 표현했다.]

[후기: Mr. Trump의 “자존심은 기능 면에서 가끔 자기기만으로 굳은 다”는 2021년 1월 16일 자 뉴욕 타임즈 기사에 예시된 것처럼, 왕자병은 정신질환을 방불케 한 것처럼 보인다.]  

[후기: 죄를 범하고도 처벌받지 않는다는 특권 의식이 왕자병에 걸린 Mr. Trump의 삶 전체를 정의한다. 2021년 1월 15일 자 뉴욕 타임즈에 인용된 Schwartz에 의하면,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벌을 피하고 살아온 Mr. Trump에게는 그렇게 죄를 피한 것이 “그는 무엇을 하든 처벌받지 않을 수 있고 또 처벌 안 받아야한다는 그의 확신을 점점 증가시켜왔다.” 2021년 1월 15일 자 뉴욕 타임즈에 실린 자신의 컬럼에서, Goldberg는 “많은 법을 위반하고도 벌을 받지 않은 점이 Mr. Trump 비법의 핵심이다”라고 말했다.]

[후기: 자신은 완벽하고 아주 실력이 좋아서 절대 틀림없는 사람이라고 믿는 Mr. Trump의 기만 원인은 왕자병이다. 왜 “Trump 대통령은 친절을 베푼 다거나. 자아비판을 한다거나, 반대파에게 귀를 기울인다든지 해서 우리를 긍정적으로 놀라게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는가” (Friedman, 2021년, 1월 19일)에 대한 답은 Mr. Trump의 그런 기만 때문이다.]

[후기: 왕자병 중 환자 Mr. Trump 때문에 고생한 세상은 왕자병이 사회적 폐단의 모체라는 점에 깊은 공감을 한다. 그런 공감은 “Trump는 진즉부터 계속 마땅히 겪어 왔어야 할 신세 즉 아무도 가까이하지 않으려는 사회 망나니 무리에 드디어 들어갔다는” (Goldberg, 2021년 1월 15일) 사실을 쉽게 이해하게 한다.] 

사회를 망조 들게 하고 껍데기 중심 사회 풍조, 즉 특정 대학들을 무조건 과대 우러러보는 풍조 때문에, 불행하게도 한국에는, 너무 많은 그런 특정 대학 재학생들 및 졸업생들이 왕자병/공주병에 걸려서 지적으로 겸손해야 가능한 평생 공부와는 담을 쌓아서 이미 실력 없거나 실력 없어지는 길로 접어들었다. 그들이 실력 없는 것은 그들이 경험한 공부 즉 학원 족집게 과외 중심, 주입식, 복사기에나 알맞은 대학 입시 준비 공부한 것의 자연적인 결과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그들이 경험한 교육은 진정한 실력을 배양하는 3 기둥 즉, 독창성, 상상력, 창의력을 기르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들이 받은 교육 전체에서 아주 형편없이 부족한 것은 본격적으로 독서와 작문, 스스로 탐구하고 토론함으로써 진정한 실력을 기르는 제도적 교육 일상에서 나오는 스스로 지식 구축하고 비평 사고 능력을 스스로 기르는 그런 교육이다. 정신건강에 헤로울 정도로 자기들 실력 없는 사실을 감추려는 데 신경을 곤두세운 나머지, 시대착오적 선민의식으로 다른 대학 학생들과 졸업생에게 집단 정형화해서 비인간화하는 딱지 붙이기를 주저 없이 하기까지 한다. 그런 딱지 붙이는 행위를 통해 그들이 실제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가 엿보인다. 즉 사실상 그들은 한국이 카스트제도가 있는 즉 계층 서열화된 봉건 사회로 되는 것을 바란다. 한국에서는 특정 대학에 들어가면 왕자병/공주병에 걸리기 쉽고 그 결과 실력 없고, 제정신이 아닌 또 한 패거리 일당이 되기 쉬운 보기 흉한 경향이 있다. 그런 경향과는 아주 대조적으로, 다른 대학에 들어가는 것은, 신의 섭리 증거로, 왕자병/공주병이 될 수 있는 소지가 사회적으로 세척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대조성을 고려해볼 때, 장기적으로, 다른 대학에 들어가거나 졸업한 것이 떳떳하게 자기 실력을 다지고 건전한 평생 습관인 지적인 겸손, 평생 공부 싹을 키우는 것으로 판명된다면, 한국에서 다른 대학에 들어가거나 졸업하는 것은 잘 안 보이게 가려진 축복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독차지/독점하다 (hog ~)

독차지/독점하다 (hog ~) [발언권을 독점하는 사람을 천재다 박학다식하다 (erudite)고 푸짐하게 (effusively) 칭송하는 것은 주입식 (teacher-frontedness)과 표준화 시험밖에 교육을 모르던 시대를 연상하게 한다 (hark back to a time when ~)]

Late last month, a leading Korean newspaper ran a column portraying what a well-known Korean professor, now an octogenarian who worked as a cabinet minister decades ago, did at a luncheon meeting attended by the 10-or-so literary personalities.   Continue reading

일상적인 것이 되다 (be a staple of one’s life)

일상적인 것이 되다 (be a staple of one’s life) [각계 각층의 (from all walks of life) 사람들이 수상 (Prime Minister) 혹은 주지사 (Premier)에게 보내는 (file ~ with ~) 탄원서 (petition), 고충서 (grievance) 영어 대필 (ghostwriting)은 나의 생활에서 일상적인 것이다.]

Willing to do whatever involves English, I happen to work as something of a ghostwriter. Continue reading

부끄러워 어찌할 바를 모르다 (be at a loss for doing anything but being shy)

부끄러워 어찌할 바를 모르다 (be at a loss for doing anything but being shy); 상황을 역전시키 (turn the tables on ~)려고 그 여학생한테 남자친구가 없으니까 그 답이 맞다고 했다; 중요하다 (count); ~을 별로 탐탁하게 여기지 않다 (have little use for ~); 좋은 관계 (good rapport with ~)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