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금을 울리다 (strike a chord with ~)

심금을 울리다 (strike a chord with ~)

영화 “미나리”에서 특히, 아내와 두 애에게 “차 안에 가만있어”라고 외친 후 불길에 휩싸인 농작물 저장고(barn)에 뛰어드는 아버지 모습이 나의 심금을 울렸다. 그 장면에서 나는 남편의 또 아버지의 본능 (instinct), 즉 무엇보다도 아내와 두 애의 안전/행복을 최우선으로 하는 본능을 보았다. 

< 사진 설명 >

“미나리 관람평: 한국의 뿌리를 아칸소 땅에 심기”라는 제목으로 실린 뉴욕 타임즈 기사에 첨부된 영화 장면 사진. 한국계 미국인 배우 스티븐 연이 남편/아버지로, New York Times가 “steal a scene” 했다고 평할 정도로 뛰어난 연기력을 과시한 윤여정이 할머니로 출연했다.

Friday, February 12, 2021

Chinhyon (via iMessage):

[an NYT-borne picture of a movie scene with the headline of “Minari Review: Sinking Korean Roots in the Arkansas Soil]

Let’s pencil in this movie among those we’ll watch.

Younger Daughter (via iMessage):

Oh yea let’s watch it! I << rented >> from TIFF. From Feb 18-19th. I’ll text you the login info once I get it.

Elder Daughter (via iMessage):

I was telling Mom this morning that it’s already in the fire TV. Because [the first name of her boyfriend] downloaded it so you can watch it whenever you want.

Younger Daughter (via iMessage)

Oh sweet.

Chinhyon (via iMessage):

Please guide both your Mom and me through the process of accessing the movie via fire TV this weekend as if both your Mom and I were kindergarten kids.

Elder Daughter (via iMessage):

Happy to FaceTime and do it step by step!

Chinhyon (via iMessage):

OK. I’ve a track record of learning from [the first name of my elder daughter’s boyfriend] and you via FaceTime. I’m looking forward to doing so again.

Saturday, Feb 13, 2021

My Younger Daughter (via email):

Dad, I thought you’d enjoy this long read about the actor from Minari, Steven Yeun

A few quotes that got me:

“Sometimes I wonder if the Asian-American experience is what it’s like when you’re thinking about everyone else, but nobody else is thinking about you,” Yeun said.

He said he had also felt this self-doubt during his career — the feeling of helplessness that comes with realizing that nobody who looks like you has done the things you want to do. “It’s painful to feel that aware,” he said. But he also said he thought there were ways in which that hypersensitivity could become its own prison. “You can lock yourself into those patterns, and then all of a sudden you can’t even see outside of it,” he said. “You don’t see how you might be able to break through the system.” Then he added: “If I see a door is cracked open, I just want to see what’s behind that thing. And I just go through it. And I get burned a lot, too, but whatever.”

[~]

Sunday, Feb 14, 2021

Chinhyon (via email):

Especially the “hypersensitivity” issue resonates with me. The issue is not limited to immigrants. About 20 years ago, Princeton University had its first-ever female president. The record-breaking president, a Canadian native, graduated from Queen’s University in Kingston, Ontario. At that time, I listened to a CBC Radio interview in which she said she had worked hard while unaware of the conventional notion of “glass ceiling” and added, with hindsight, that the unawareness had helped bring out the best in her.  

Younger Daughter (via email):

Wow. That is so interesting. Thanks for sharing.

Monday, February 15, 2021

Chinhyon (via iMessage):

Your Mom and I watched the movie “minari” last night; but for now we feel the need to refrain from sharing our opinions about the movie lest we spoil your pleasure in watching it on the upcoming weekend.

Saturday, February 20, 2021

Elder Daughter (via iMessage):

Hi family. I just finished Minari and I cried a lot during the barn fire [fire emoji] scene. So tragic.

Younger Daughter (via iMessage):

[love emoji] so sad. All the grandma wants to do is help.

Elder Daughter (via iMessage):

It was so sad. But still a happy ending.

Younger Daughter (via iMessage):

Yea because they decided to stay on the farm and try again.

Elder Daughter (via iMessage):

I would love to know how Mom and Dad liked the movie. But I am sure they are both sleeping now.

Sunday, February 21, 2021, 3:39 AM

Chinhyon (via iMessage):

The father struck a chord with me especially when he rushed to the barn aflame, shouting to his wife and his two children “Don’t get out of the car.” In the scene I saw a husband’s and a father’s instinct to prioritize the safety / well-being of his wife and his two children over anything else.

That the grandmother’s unfailing commitment to helping the family, particularly the often recalcitrant grandson paid off was movingly perceptive when the grandson with a heart problem ran to the leaving grandmother as fast as his legs could carry himself and then through tears pleaded with the grandmother to stay with the family.

Sunday, February 21, 2021 7:59 AM

Elder Daughter (via iMessage):

Yes both were beautiful moments [two love emojis].

Elder Daughter (via iMessage, replying to Chinhyon’s second paragraph):

I liked that scene a lot. David, the boy, was my favourite character. Both the grandma and the grandson casted the movie well!! [two love emojis]

Tuesday, Feb 23, 2021

Chinhyon (via iMessage):

Steven Yeon is to appear on the CBC Radio show of Q today morning.

&&&&&&&&&&&&

. pencil ~ in = ~을 일단 예정에 넣다 

. resonate with ~ = ~이 공감하다

. glass ceiling = 보이지 않은 차별/ 유리 장벽

. hindsight (in hindsight = 뒤돌아 생각해보면)

. best (bring out the best in sb = ~에게 있는 최선을 끄집어 내다)

. lest ~ = ~하지 않으려고

. refrain from ~ = ~을 삼가다

. spoil sb’s pleasure = ~의 기쁨을 훼손시키다

. barn = 곡식 창고; 농작물 저장고

. chord (strike a chord with ~ = ~의 심금을 울리다)

. instinct = 본능

. prioritize ~ over ~ = ~보다 ~을 우선으로 하다

. well-being = 복지; 안녕; 행복

. unfailing = 항상

. commitment =  헌신

. pay off = 효과가 제대로 나다

. perceptive = 실감나게 보여준다

. as fast as one’s legs can carry = 걸음아 나 살리라하는 식으로 최대한 빨리 뛰다

. plead with sb to-inf. = ~에게 ~해달라고 간청/탄원하다

금요일, 2월 12일, 2021년

진현 (via iMessage): 

[“미나리 관람평: 한국의 뿌리를 아칸소 땅에 심기”라는 제목으로 실린 뉴욕 타임즈 기사에 첨부된 영화 장면 사진] 이 영화 우리가 볼 영화 목록에 일단 넣자.

작은딸 (via iMessage):

오, 보자! << 대여 >> 토론토 영화제로부터 2월 18일-19일까지 빌렸어. 내가 입수한는 대로 접속 정보 문자로 보내겠음.

큰딸 (via iMessage):

오늘 아침에 엄마한테 이 영화 fire TV에 이미 저장돼 있다고 말했어. [큰딸의 남자친구 이름]이 다운로드해 놓아서 원할 때 언제든지 볼 수 있어.

작은딸 (via iMessage):

좋아.

진현 (via iMessage):

어떻게 fire TV를 통해 영화를 볼 수 있는지를 이번 주말에 네 엄마와 내가 마치 유치원생들인 것처럼 가르쳐 줘.

큰딸 (via iMessage):

FaceTime으로 화상 대화하며 하나하나씩 가르쳐 드릴게요! 

진현 (via iMessage):

좋아. 나는 [큰딸의 남자 친구 이름]으로부터 FaceTime을 통해 배운 경력이 있어. 또 FaceTime을 활용해서 배우기를 기대한다.

토요일, 2월 13일, 2021년

작은딸 (via email):

아빠, ‘미나리’ 배우 스티븐 연에 관한 긴 기사 아빠는 좋아하리라 생각해. 

내 시선을 끈 대목:

“아시아계 미국인 경험도 다른 사람들 경험 같은 지 나는 가끔 생각해본다. 그러나 아무도 너에 관해 생각하지 않아” 연은 말했다. 

그도 한때 자아에 대한 회의에 빠졌었다고 말했다. 네가 하고 싶은 것을 너처럼 생긴 사람은 한 적이 없다는 사실인정과함께 오는 절망감에 빠졌다고 한다. “그렇게 느낀 것은 참 고통스럽다”고 그는 말했다. 그러나 또 그는 그렇게 과민 하는 자체가 감옥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런 식으로 과민 하는 생각 패턴에 가둬봐 그러면 그런 생각 밖은 전혀 볼 수 없게 돼” 그는 말했다. “그런 제도를 격파할 방법을 못 봐.” 그는 덧붙이기를 “문이 조금 열려 있으면 나는 일단 들어가서 문 뒤에 무엇이 있나를 보고 싶다. 일단 들어가. 나 역시 피를 보지만 그러면 어때.”

    [~]

일요일, 2월 14일, 2021년

진현 (via email):

스티븐 연의 특히 “과민”에 대한 견해에 나는 공감한다. 이 문제는 비단 이민자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약 20년 전에, Princeton 대학교 역사상 최초로 여성 총장을 선출했다. 기록을 깨뜨린 총장은 캐나다 출신으로 온타리오주 킹스톤에 있는 퀸즈 대학교 졸업생이다. 그 당시, 나는 그분이 CBC Radio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인터뷰하는 것을 들었다. 세간에서 말하는 “보이지 않은 차별, 유리 장벽”을 모르고 그저 열심히 일했고 그렇게 모르는 것이 자신이 지닌 최선을 발휘할 수 있게 했다고 회고했다. 

작은딸 (via email):

와. 참 흥미롭네요. 이야기 들려줘서 고마워요.

월요일, 2월 15일, 2021년

진현 (via iMessage):

네 엄마와 나는 이미 영화 “미나리”를 지난 밤에 보았다. 그러나 너희들 돌아오는 주말에 영화 보는 재미를 훼손시킬까 봐 우리 영화 관람평을 지금은 말하지 않겠다.

토요일, 2월 20일, 2021년

큰딸 (via iMessage):

나 미나리 이제 막 다 봤고 수확한 농작물 저장고가 화재 났을 때 많이 울었어. 참 안됐어.

작은딸 (via iMessage):

[love emoji]. 참 슬퍼. 할머니는 도우려고 한 건데.

큰딸(via iMessage):

참 슬픈 장면이야. 그러나 좋게 끝났어.

작은딸 (via iMessage):

맞아. 모두 그 농장에 남아서 다시 시작하기로 했어.

큰딸 (via iMessage):

엄마와 아빠의 관람평을 듣고 싶은데. 아마 엄마, 아빠 모두 지금 주무시고 있을 거야.

일요일, 2월 21일, 2021년 새벽 3시 39분. 줄넘기하러 밖에 나가기 전에

진현 (via iMessage):

특히, 아내와 두 애에게 “차 안에 가만있어”라고 외친 후 불길에 휩싸인 농작물 저장고에 뛰어드는 아버지 모습이 나의 심금을 울렸다. 그 장면에서 나는 남편의 또 아버지의 본능, 즉 무엇보다도 아내와 두 애의 안전/행복을 최우선으로 하는 본능을 보았다.   

가족, 특히 가끔 반항하는 손자 돕는 할머니의 변함없는 헌신의  멋진 효과는 심장 질환이 있는 손자가 걸음아 나 살리라고 할머니에게 달려가서 집 떠나는 할머니한테 가족과 함께 살자고 눈물로 간청할 때 아주 감명 깊게 실감 나게 나타났어. 

일요일, 2월 21일, 2021년 아침 7시 59분

큰딸 (via iMessage):

맞아. 두 장면 참 아름다운 순간이야. [two love emojis].

큰딸 (via iMessage, 나의 위 두 번째 문단에 대한 답신으로):

그 장면 참 좋아. 그 소년, David는 내가 좋아하는 인물이야. 할머니와 손자는 영화를 멋지게 했어!!! [two love emojis]

화요일, 2월 23일, 2021년

진현 (via iMessage):

스티븐 연 오늘 CBC Radio 프로그램 Q에 오늘 아침 출연한다.